경제지표 2

[Chp.11] 투자 금융 자산

#경기순환주기 경기순환주기는 저점에서 다음 저점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저점에서 정점까지의 높이를 경기의 진폭이라고 한다. 경기의 진폭이 클수록 경기저점의 경제 상황과 경지정점의 경제 상황의 차이가 확대된다. 우리나라 경기의 순환주기는 평균 49개월이며 확장기와 수축기가 각각 평균 31개월 및 평균 18개월이다. 우리나라의 순환주기는 미국의 77개월이나 일본의 55개월에 비해 짧은 편이다. ​ #경제지표 거시경제의 수요측면에서 경기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는 소비, 투자, 수출입 등 지출 측면에서 GDP를 구성하는 경제지표들이다. 가계의 소비지출표로는 소매판매액이나, 소비재의 내수출하 및 수입액 등이 있다. 기업의 투자지출지표는 건축허가면적, 건설수주액 등 건설 활동과 관련된 지표들이 포함된다. 설비투자..

금융 파이낸스 2024.02.23

[Chp.10] 투자 금융 자산 공부

#유동성위험 유동성이란 시장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현금은 유동성이 가장 높고 만기일에 원금이 상환되는 정기예금은 유동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상장주식은 시장에서 거래되므로 유동성이 높은 금융상품이지만, 거래량이 적은 주식은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유동성이 높은 금융상품의 유동성위험은 낮고 유동성이 낮은 금융상품의 유동성위험은 높다. 유동성위험은 낮은 금융상품은 시장에서 매도할 때 호가 차이로 인한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거래량이 매우 적은 주식을 매도하기 위해서는 시장가격보다 호가를 큰 폭으로 낮춰야 하는데 이 경우 시장가격에 매도할 때와 비교하여 매매손실이 커질 수 있다. 보유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경우 부채를 만기에 상환하지 ..

금융 파이낸스 2024.02.22